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게임기획자 되는법 어떻게 하는건가요?
어떻게 하는건가요?
게임기획자!
듣기만 해도 두근두근하죠?
"게임을 만드는 머리!"라고 불릴 만큼
핵심 역할을 하는 직업이에요.
지금부터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
게임기획자는 말 그대로
게임의 '설계도'를 그리는 사람이에요.
어떤 스토리로, 어떤 룰로, 어떤 시스템으로
게임을 구성할지를 정리하는 거죠.
예시로 보면,
캐릭터가 레벨업할 때 필요한 경험치 수치는?
어떤 버튼을 누르면 어떤 행동을 하게 만들까?
스토리는 어느 타이밍에 어떻게 풀릴까?
이런 걸 ‘문서로’ 정리해서
개발자, 디자이너와 협업하는 역할이에요.
게임기획자 되는 법, 이렇게 준비해요
1. 게임을 많이 하고 분석하기
그냥 “재밌다!”가 아니라
왜 재밌는지, 구조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생각하면서 플레이하는 습관이 중요해요.
예시
이 게임은 왜 중독성이 있을까?
튜토리얼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지?
UI는 보기 편한가?
이런 걸 기획노트로 쌓아두면 좋아요!
2. 게임기획자 포트폴리오 준비하기
많은 분들이 잘 모르지만,
기획자도 포트폴리오가 꼭 필요해요!
예시 구성
게임 기획서 (자작 게임)
캐릭터 능력치 / 밸런스 기획안
퀘스트 흐름도
UI/UX 스토리보드
레벨 디자인 맵 구성
→ 전부 PPT, PDF로 깔끔하게 만들면 좋아요!
3. 공부 + 실습 병행하기
비전공자도 OK!
요즘은 기획자 양성과정, 온라인 강의도 많아요.
추천 과정
국민내일배움카드 활용 가능 학원:
게임기획 전공 / 포트폴리오반 운영
온라인 강의: 패스트캠퍼스, 클래스101 등
유튜브 채널: 게임기획에 진심인 편, 엔진기획노트
엑셀 (데이터 정리)
PPT (기획서 작성)
Draw.io / Miro (흐름도 작성)
Unity/Unreal (기획자용 툴 기초)
4. 실무 경험 만들기 (인디/팀프로젝트 참여)
구인 구직 디스코드, 커뮤니티 (인디개발팀)
사이드 프로젝트 참가
온라인 공모전, 게임잼 (Ludum Dare 등)
이 과정에서
실제 협업 경험 + 결과물을 만들 수 있어요!
5. 취업 준비 (신입 or QA경력전환)
신입 게임기획자 공채
QA(테스터) → 기획자 전환 루트도 많아요
자소서에 기획 철학 + 포폴 강조 필수!
면접에서는 "게임을 얼마나 분석했는지" 묻는 경우 많아요
게임을 즐기고 → 분석하고 → 기획서로 표현하고 → 포트폴리오로 정리
여기까지 되면 누구든 기획자가 될 수 있어요!
포인트는 논리력 + 관찰력 + 꾸준한 시도예요!
더 궁금하신 부분은 프로필 링크타고 문의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