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음, 훈 차이 음, 훈이 발음 다른거 외에 뭔 차이가 있나요? 어떨때 어떤게
음, 훈이 발음 다른거 외에 뭔 차이가 있나요? 어떨때 어떤게 사용되나요?
훈, 음독, 단어 관련해서 남겨드린 답변이 있어서 이걸로 대체할게요!
대부분의 선생님들께서 저와 비슷한 말씀을 하시겠지만,
" 음독, 훈독을 구분하지 않고 단어 통째로 외우세요! "
한자가 두 개 이상 만났을 때 " 음독 " 으로 읽히기 때문에,
한자를 아직까지 쓰고 있는 일본인이 한국어를 공부할 때,
한국어의 단어 또한 역시 " 한자 " 이기에,
음독만 제대로 공부하면 오히려 단어 공부는 한국어가 더 쉽습니다.
일본 한자의 경우는 절대적인 규칙성이 존재하지 않기에,
으로 읽힌다는 점에서 일본 한자가 어렵다고 많이들 그러십니다.
" 외국인 " 인 우리로서는 정확하게 짚어내긴 어렵습니다.
훈, 음을 굳이 나눠서 외우라고 하지 않고 단어 통째로 보면서,
나중에 이게 단어로 읽힐 때는 주로 " 음독 " 으로 읽히는구나....
이러면서 분간만 가능한 정도로 외우시는 게 좋습니다.
단어를 많이 모르시는 분들이 한자부터 한답시고,
한자를 모르시는 분들 혹은 단어를 많이 알고 계시지 않으신 분들은 훈, 음독을 공부하시는게 아니라,
기초 교재나 한 권 시리즈에 나와있는 단어를 " 통째 " 로 외우시는 방법으로 가시는게 효율도 나고 괜찮은 전략입니다.
(1) 한자가 주로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2) 모든 품사 대응 (동, 형, 명 / 단, な형용사의 경우 한자 두 글자로 이루어진 것들은 대부분 음독이 많음!)
(3) 해석할 때, 고유 뜻으로 해석이 된다는 거
(4) 다른 친구와 만나 단어를 이루었을 때, 한국어에 없는 발음인 경우
(2) 한자가 하나인데 간혹 뜻을 가지고 있는 것들(金、銀 등등.....)
이건 단어를 많이 알고 있을 때 접목시켜서 조금이라도 분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단어부터 많이 외우시는 걸 권장드리는 바입니다 ^^;;
----------------------------------------------
훈, 음독 관련한 부분이라고 봅니다 ^^;; (불규칙하다는 점과 ^^)
한자 두 개 이상이라면 음독으로 읽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고,
대부분이 그러니 아무래도 우리 입장에서 한자를 배우면 단어에 적용시키는 편하지만,
그걸 다 하나하나 밝혀내기는 굉장히 어렵습니다.
또 하나의 해석에도 복잡하게 나뉘어진다는 점 때문에 한자를 어려워하시죠.
외우는 것 말고는 딱히 방법이 없습니다 ^^;;
단어를 많이 외우셨다가 저렇게 한자 하나를 봤을 때,
어떤 단어가 여기에 해당되는지 링크 시켜서 외우시는게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