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IB교육 대학 진로 1. 고등학교에 IB반을 고민하고 있는데 장단점을 얘기해주세요 2. IB반에서 중위권으로

1. 고등학교에 IB반을 고민하고 있는데 장단점을 얘기해주세요 2. IB반에서 중위권으로 성적이 나오는 것과, 일반반에서 중위권을 하는것중 어느쪽이 더 대학을 잘가나요?3. IB반으로 가면 진로는 이과쪽으로 갈수없나요?4. IB반으로 가면 진로는 어느 쪽으로 갈수있나요? 아니면 어디가 더 유리한가요5. 저는 한국 국내의 대학교를 생각하고있는데 어떤 학과를 갈수있나요?
1. IB반의 장단점
장점
비판적 사고·탐구 중심 → 단순 암기보다 깊은 학습 가능.
영어 비중이 높아 국제 감각, 에세이·리서치 능력 향상.
해외 대학 진학에 유리 (특히 미국·영국·홍콩·싱가포르 등).
국내에서도 일부 대학이 IB를 학생부종합 평가 시 긍정적으로 인정.
단점
내신 산출이 일반 내신과 달라 국내 대학 입시에서 불리할 수 있음.
수업과 과제가 방대하고 어려움 → 관리가 잘 안 되면 성적 떨어지기 쉽다.
국내 입시용 ‘수능 준비’와는 괴리가 큼.
2. IB 중위권 vs 일반반 중위권
국내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할 경우, 일반반 중위권이 더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유: 한국 대학 대부분이 내신(등급)·수능 성적을 기준으로 보기 때문.
IB 중위권은 성취를 어필하기 애매하고, 환산 시 내신 등급으로 불리하게 적용될 수 있음.
다만 일부 대학(연세대, 고려대, 일부 의학계열 등)은 IB 전형을 따로 운영하거나 국제고·외고와 비슷하게 평가하므로, IB를 특화해서 잘하면 상위권 대학 진학 가능성은 있습니다.
3. IB반 → 이과 진로 가능 여부
가능합니다. IB에는 과학(Physics, Chemistry, Biology, Math AA/AI HL) 과목을 HL(심화)로 선택하면 자연계열 진학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다만 수능 대비가 어렵기 때문에 “의치한 약수(의대·치대·한의대·약대·수의대)”처럼 수능 최저 필수가 있는 학과는 불리합니다.
4. IB반 진로 방향
해외 대학: 경영, 경제, 사회과학, 국제학, 심리학, 공학, 자연과학, 디자인 등 다양한 전공 진학 가능.
국내 대학: 학생부종합(국제형 인재 전형 등), 특기자, 일부 글로벌 전형에서 유리. 인문사회/글로벌학부/경영/경제 쪽이 상대적으로 많지만, 과학 HL 이수 시 이과 계열도 가능합니다.
정리하면:
해외 대학 = IB 강점 살리기 좋음.
국내 대학 = 일부 상위권 대학 학종/특기자 전형에 유리, 정시 위주 대학은 불리.
5. 국내 대학 진학 시 가능한 학과
IB로 국내 대학 진학이 잘 되는 전공
국제학부, 경영학과, 경제학과, 정치외교학과, 언론정보학과
사회과학, 교육학, 심리학, 디자인 관련 학과
이과 진학 가능 학과 (HL 과목 이수 시)
화학/생명 HL → 생명과학, 화학, 식품영양, 간호학, 보건계열
물리/수학 HL → 공대, 컴퓨터공학, 물리학, 데이터사이언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