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물생지 갈 수 있는 학과 제가 지금 고1이고 2학년 수강신청을 마무리했습니다. 물생지랑 기하, 미적분, 대수
제가 지금 고1이고 2학년 수강신청을 마무리했습니다. 물생지랑 기하, 미적분, 대수 선택했는데 이렇게 수강하면 갈 수 있는 학과가 어디 있을까요? 공대 희망합니다. 기계공학이랑 항공우주학과에 관심 있어요. 1학기 내신은 꽤 괜찮은 편이구요. 저도 화학 안 들으면 공대 가기 불리한거 아는데 그래도 공대 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2학년 수강신청을 아주 신중하게 마치셨군요. 특히 고1인데도 벌써 진로에 대해 깊이 고민하며 준비하시는 모습이 정말 멋지세요. 내신 성적도 꽤 괜찮다고 하시니 더욱 기대가 됩니다.
선택하신 과목들로 공학 계열 학과 진학에 충분히 유리한 기반을 마련하셨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선택하신 과목들과 희망하시는 학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질문자님의 선택 과목 분석
물리학, 미적분, 기하, 대수공학 계열, 특히 기계공학이나 항공우주공학을 희망하신다면 이 과목들은 매우 중요하고 핵심적인 과목들입니다. 대부분의 공과대학에서는 물리학과 미적분을 필수로 여기며, 이는 공학적 문제 해결 능력의 기초가 됩니다. 물리학은 공학의 근간이 되는 학문이고 미적분과 기하는 복잡한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생명과학, 지구과학:이 과목들은 자연 과학 영역을 폭넓게 탐구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비록 기계공학이나 항공우주공학에서 직접적으로 화학만큼 중요하게 다뤄지지는 않지만, 자연 과학에 대한 이해는 다양한 공학 분야에서 폭넓은 시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화학 미선택에 대한 우려
걱정하시는 것처럼 공과대학 진학 시 화학을 이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화학을 듣지 않았다고 해서 공과대학 진학이 불가능하거나 불리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물리학의 중요성: 기계공학이나 항공우주공학은 물리학의 원리를 가장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분야입니다 따라서 물리학을 선택하고 높은 성취도를 보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홍루아님은 이 부분을 잘 선택하셨습니다. 공학계열 학생부 전형으로 진학하고자 한다면 물리학은 필수적인 과목으로 여겨집니다
대학별 과목 반영: 각 대학이나 학과마다 입학 시 중요하게 여기는 과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일부 학과는 특정 과학 탐구 과목을 필수로 요구하지 않고, 학생들이 이수한 과목 전반의 성취도를 평가하기도 합니다. 특히 홍루아님처럼 물리와 심화 수학을 선택했다면 기계공학이나 항공우주공학에서는 더 적합한 선택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갈 수 있는 공과대학 학과
질문자님의 수강 과목으로 다음과 같은 공과대학 학과에 충분히 진학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기계공학과: 물리학과 수학(미적분, 기하)이 핵심적으로 활용되는 대표적인 학과입니다. 로봇, 자동차, 에너지,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응용되는 학문입니다.
2. 항공우주공학과: 비행체와 우주선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학문으로, 물리학(특히 역학), 미적분, 기하 등의 지식이 필수적입니다. 미래 유망 분야로 많은 학생들이 선호하는 학과이기도 합니다 항공우주공학기술자는 비행기, 헬리콥터, 우주선 등 항공기와 관련 장비를 연구하고 개발합니다
3. 건설공학과/건축공학과: 구조물의 설계 및 안정성 분석에 물리학과 수학적 지식이 요구됩니다.
4.전기전자공학과:전기 회로, 신호 처리 등에 물리학과 미적분 지식이 많이 활용됩니다.
5. 신소재공학과 (일부)물리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신소재 개발 분야에서는 물리학적 지식이 중요합니다. 다만, 재료의 화학적 특성도 중요하므로 해당 학과에 따라 화학 이수 여부가 더 중요하게 평가될 수도 있습니다.
결론 및 조언
질문자님께서 선택하신 과목 조합은 희망하시는 기계공학 및 항공우주공학 진학에 매우 적합합니다. 화학을 수강하지 않은 것이 치명적인 불이익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지금부터 중요한 것은 선택한 과목에서 최고의 성취도를 내는 것입니다. 물리학, 미적분, 기하 과목에 특히 집중하시어 좋은 성적을 유지하신다면 홍루아님의 희망하는 공과대학 진학의 꿈을 이루실 수 있을 거예요. 또한, 희망하는 대학의 입학 전형 요강을 미리 확인하여 필요한 준비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