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학, 해외 대학 동시에 다니는게 가능한가요? SAT 준비해서 미국 대학 다니려고 하면한국 대학은 휴학 아니고 자퇴해야
한국 대학, 해외 대학 동시에 다니는게 가능한가요? SAT 준비해서 미국 대학 다니려고 하면한국 대학은 휴학 아니고 자퇴해야
SAT 준비해서 미국 대학 다니려고 하면한국 대학은 휴학 아니고 자퇴해야 하나요?

아주 좋은 질문입니다! 각각의 예문을 문법적으로 분석하면서, 왜 1번과 2번에서 다른 결론이 나오는지 차근차근 설명드리겠습니다.
1. The information which you have access through our services is referred to in this document as content.
The information [which you have access through our services]
→ 이 문장에서 which는 선행사인 information을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의 시작입니다.
관계대명사절 안에서 you have access가 동사 부분입니다.
여기서 access는 동사로 쓰이지 않고, 명사로 쓰였습니다.
have access는 타동사적 표현으로, 뒤에 반드시 전치사 to와 함께 쓰여야 의미가 완성됩니다.
you have access to something
which 뒤에 이어지는 절에서 access 뒤에 to가 없으므로 문장이 완전하게 끝나버립니다.
→ 문법적으로 맞으려면 which to로 고쳐야 합니다.
The information to which you have access through our services...
2. Everything that you have acquired through this service is subject to ~~~.
Everything [that you have acquired through this service]
→ 여기서 that은 선행사 everything을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의 시작입니다.
관계대명사절 안에서 you have acquired가 동사 부분입니다.
→ that은 관계대명사로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that은 목적어 자리(___)에 들어가기 때문에 문장이 문법적으로 완전하지 않고, 불완전합니다.
1. 1번에서의 핵심은 access가 to를 필요로 한다는 점입니다.
즉, **문장이 “완전하게 끝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어색한 문장”**입니다.
이를 수정하려면 to which를 사용해야 합니다.
2. 2번에서는 that이 목적어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미 문장이 불완전하며, 자연스럽게 관계대명사로서 올바르게 쓰였습니다.
1. 완전한 문장이 문제인 경우 (1번 상황과 동일):
• (잘못된 예) The book which I have access is interesting.
→ 여기서 have access는 to가 빠졌으므로 틀렸습니다.
→ (수정된 예) The book to which I have access is interesting.
2. 불완전한 문장이 자연스러운 경우 (2번 상황과 동일):
• (올바른 예) The book that I read is interesting.
→ that은 목적어 자리(I read ___)에 들어가며, 문장이 불완전합니다.
• 1번 문장은 access의 전치사 to가 필요하므로 which to로 수정해야 합니다.
• 2번 문장은 that이 목적어 역할을 하며 불완전한 문장이므로 올바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