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폴란드 석탄 사용 감소와 재생에너지 전환 계획은? 폴란드가 2040년까지 석탄 사용을 줄이고 재생 가능 에너지로 전환을 목표로
폴란드가 2040년까지 석탄 사용을 줄이고 재생 가능 에너지로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현재까지의 진행 상황과 앞으로의 구체적인 계획, 그리고 이에 따른 도전 과제는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폴란드는 재생에너지 + 원전 으로 목표를 잡고 있습니다.
석탄발전소를 줄이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만으로는 불가능하고, 원전이 꼭 있어야 해요.
일단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 원전 으로 75% 에너지를 채울 계획을 세우고 있죠.
현재 폴란드는 재생에너지 비중이 29% 정도가 됩니다. 2040년까지 50% 대의 재생에너지를 준비하고 있고요.
가장 큰 문제는 전력망이예요. 태양광, 풍력 발전은 가장 큰 문제가 간헐성이고, 이를 보조하기 위해서 ESS라는 전기저장장치(현재는 배터리, 양수 발전 등을 활용)가 꼭 필요해요. 간헐성에 의해서 생기는 문제는 전력망의 문제가 됩니다. 재생에너지 전기 출력이 떨어지면, 그에 맞추어서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야하는데, 이것을 ESS가 상당부분 담당하거나 외국으로부터 전기를 수입해야 합니다. 이러한 전력망을 구성하는 것이 제일 큰 관건이고, 스페인 대정전에서 보듯이 잘못하면 대정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EU 국가들 사이에는 전력망을 유지하는데 협력을 하고 있지만, 재생에너지 비중이 큰 나라들에 대해서는 자국의 전기망 안전때문에 꺼리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보통 자국의 전기망 보호를 위해서 대전력 송출에 대해서는 제어를 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가장 큰 문제죠. ESS는 너무 비싸니 유럽내 전력망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겠죠. 하지만 국가간 자국 우선주의가 있기 때문에 각각의 나라의 전력망 보호를 위해서라면 언제든 전기를 끊을 수 있습니다.
원전은 항상 문제가 되는 것이 지역의 반발을 어떻게 잘 해결하느냐일테고요. 워낙 반핵 환경단체들이 강경한 편이라서 우리나라 뿐 아니라 그래도 의식이 좀 더 개선되어있는 유럽도 별 다를 바가 없죠.
하지만 원전 없이는 기저 전력을 담당할 수 있는 것이 없기 때문에 (그동안은 석탄발전이 그 부분을 담당했지만, 석탄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없애려하는 것이잖아요.) 기후변화 해법에 필수 불가결한 에너지원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술이 없기 때문에,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프랑스, 미국 등 원전을 건설할 수 있는 나라에 기댈 수밖에 없죠.
현재로서는 우리나라가 독보적 1위인데, 정작 우리나라에서는 탈원전을 하려고 하고 있으니 안타까울 뿐이죠.
폴란드는 2040년까지 에너지 믹스를 재생 50~56%, 원전 20~25% 정도를 생각하고 있다고 봅니다.
그래도 폴란드는 풍력 환경이 좋고, 땅이 넓으니 우리나라 상황보다는 재생에너지 여건이 좋다고 생각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