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착신앙 이요(동아시아사,불교) 중국의 [부모은중경]은 유학사상이랑 불교랑 결합된거잖아요여기서 유교랑 불교랑 결합된게 토착신앙과 결합되었다고
중국의 [부모은중경]은 유학사상이랑 불교랑 결합된거잖아요여기서 유교랑 불교랑 결합된게 토착신앙과 결합되었다고 보는게 맞는건가요??
중국의 『부모은중경』이 유교와 불교 사상의 결합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며, 여기에 중국의 토착신앙적 요소가 결합되었다고 보는 것도 타당합니다.
『부모은중경』은 부모의 은혜를 강조하는 불교 경전으로, 특히 효를 중시하는 유교 사상과 깊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불교가 중국에 전래되면서 유교 중심 사회의 비판(출가하여 부모를 버린다는 비판 등)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 불교 내부에서도 효를 강조하는 경전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부모은중경』은 인도에서 만들어진 경전이 아닌, **중국에서 찬술된 위경(僞經)**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중국인의 정서와 사상에 맞게 불교 교리를 변용하고 확대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불교의 효 사상에 유교의 효 개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입니다.
중국의 불교는 유교뿐만 아니라 도교를 비롯한 중국의 민간신앙 및 토착신앙과도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며 발전했습니다.
불교가 새로운 지역으로 전파될 때, 해당 지역의 기존 사상이나 문화, 신앙과 습합(習合)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불교가 현지 문화를 포용하고 대중에게 쉽게 다가가기 위한 방편이기도 했습니다.
『부모은중경』 역시 중국인들의 조상 숭배나 기복적인 요소 등 토착신앙적 정서와 연결될 수 있는 지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의 고통을 덜어주고 복을 빌어주는 내용은 토착신앙의 기복적 성격과도 통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민간신앙은 유교, 불교, 도교가 절충된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초자연적인 존재나 영혼에 대한 관념 등에서 불교와 토착신앙의 융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부모은중경』은 중국 불교가 현지화되는 과정에서 유교의 효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만들어진 경전이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중국의 전통적인 민간신앙이나 토착신앙의 정서적, 문화적 요소들이 자연스럽게 녹아들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교와 불교의 결합에 더해 토착신앙과의 결합이 이루어졌다고 보는 것은 합리적인 해석입니다.